기타 48

종합소득세 최저한세

조세특례제한법상의 세액감면 등이 적용되는 경우 과도한 감면을 규제하기 위해 최저한세제도를 두고 있습니다. 각종 감면이나 공제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세금을 내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법인은 과세표준의 7%의 최저한세가 적용되지만 개인은 산출세액의 35%, 45%가 최저한세입니다. ■개인사업자의 최저한세 산출세액 최저한세 3천만원 이하 35% 3천만원 초과 45% ※2013년 이후 귀속분부터 35%, 45% 적용(2012년 이전은 35%) 아래에서 최저한세가 적용되는 주요한 감면과 공제를 알아보겠습니다. ■최저한세가 적용되는 소득공제 적용 감면 관련 조문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 소득공제 제86조의 3 소득공제 종합한도 2,500만원 적용대상 소득공제 제132조의 2 ​■최저한세가 적용되는 세액감면 적용 감면 ..

기타 2022.05.19

빌딩 상속시 재산의 평가

지금까지 내용들을 잘 이해하였다면 임대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빌딩에 대한 상속세와 증여세 업무도 제대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최근 비주거용 건물에 대한 상속 · 증여재산 평가방법 등이 변경되면서 세무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는 바, 이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1. 빌딩의 재산평가관련 사례 사례 - 임대현황 시세: 100억원. (객관적으로 확인이 불가능) 기준시가: 50억 원 임대보증금: 20억 원 월세: 6천만 원 (연 7억 2천만 원) (상황1) 이 경우 상증법상 평가액은 얼마인가? 빌딩의 경우 시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임대료 등을 환산한 가액과 기준시가 중 큰 금액으로 평가한다(물론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담보된 채권액도 포함하여 판단한다). 사례의 경우 다음 중 큰 금액..

기타 2022.05.01

개인사업체의 영업권 평가 사례

사례 ※ 갑은 개인사업자 등록을 하여 운영하던 A사업장(제조업체)을 2017.10.15에 자녀에게 증여하였다. ▣ 갑의 2016년도 종합소득금액 내역 - 이자소득금액:3,500만원 - 사업소득금액(A사업장):2억원 - 사업소득금액(B사업장):1억원 - 부동산임대소득금액(C사업장):3억원 ▣ 갑의 2015년도 종합소득금액 내역 - 이자소득금액:2,000만원 - 사업소득금액(A사업장):1.5억원 - 사업소득금액(B사업장):1.2억원 - 부동산임대소득금액(C사업장):2.5억원 ▣ 갑의 2014년도 종합소득금액 내역 - 이자소득금액:2,500만원 - 사업소득금액(A사업장):1.8억원 - 사업소득금액(B사업장):0.8억원 - 부동산임대소득금액(C사업장):2억원 ▣ A사업장 자기자본 - 자산총액:5억원 - 부채총액..

기타 2022.05.01

법인의 영업권 평가 사례

다음 사례에서 영업권을 평가하라. 사례 ▣ 평가기준일:2017.5.10 ▣ 최근 3년간 각사업연도 순손익액 - 2016사업연도 순손익액:1,801,591,174 - 2015사업연도 순손익액:1,646,964,831 - 2014사업연도 순손익액:1,468,820,296 ▣ 자기자본 - 자산총계:8,494,199,647원 - 부채총계:2,013,261,825원 - 영업권포함전 순자산가액:6,480,937,822 ▣ 기타사항 - 영업권은 매입하지 아니함. - 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이자율:10% ① 최근 3년간의 순손익액의 가중평균액 (1,801,591,174×3)+(1,646,964,831×2)+(1,468,820,296×1) ────────────────────────── = 1,694,587,246 6 ②..

기타 2022.05.01

겸용주택 비과세와 양도소득세

1. 겸용주택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 종전의 규정은 다음과 같다. 소득세법시행령 156조 2항 ① 주택의 면적이 주택외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그 전부를 주택으로 보아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주택 외의 부분이 주택으로 간주되어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이 적용되는 때에는 그 주택 외의 부분의 가액을 주택의 가액에 포함시켜 고가주택 규정을 적용한다. 또 전체를 주택으로 보아 1세대 1주택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율(최대 80%)을 적용한다. ② 주택 면적이 주택외의 면적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주택외의 부분은 주택으로 보지 않는다. 개정 이후인 2022년 1월 1일 이후 양도분이라도 고가겸용주택(12억원 초과)이 아닌 경우에는 위와 같이 판단한다. 2. 고가겸용주택의 1세대 1..

기타 2022.04.30

토지수용시 고려할 점

1.수용되고 사업인정고시일로부터 2년 이전에 취득한 토지는 사업용토지이다. 1) 사업용 비사업용 판단기준(일반적인 경우) 기준 농지 임야 목장용지 기타 대지 사업기준 *도시지역외 농지 *재촌(연접30㎞) *자경(본인, 직불금수령여부) *근로.사업소득 3,700만원 미만 *2020년이후에는 수입금액이 복식부기 기준이하이어야 함 *재촌(연접. 30㎞이내) 실제 축산업 영위 *재산세납부내역조회 종합합산(비사업용) 별도합산(사업용) 분리과세(사업용) *본인 인대사업 여부 *임차인 사업자 여부 건축물 존재 유무 *토지와 건물 소유주 불일치 여부 *무허가주택 가능 *무허가 기타건물은 비사업용 지역기준 주거.상업.공업지역 외 주거.상업.공업지역 외 면적기준 재촌예외(주말체험농장 1,000㎡ 가축별 면적기준 용도지역별..

기타 2022.04.25

공익사업 보상금 양도세감면과 증액 보상금 수령에 따른 양도세 신고

토지가 수용될 때 양도시기는 양도소득세 신고기한 판단의 기준이 됩니다. 또한 재결에 이의를 제기하여 보상금을 공탁하는 경우와 추가로 받은 증액보상금에 대한 신고시기 및 가산세도 중요합니다. 토지 등의 수용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익사업시행자에게 양도되거나 수용되는 경우에는 토지소유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소유권이 이전될 수 있고, 시가로 보상을 하지 못하며, 공익사업이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세법에서는 감면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감면요건 감면 대상이 되는 소득으로서 해당 토지 등이 속한 사업지역에 대한 사업인정고시일 전 2년 이전에 취득한 토지 또는 사업인정고시일 전에 양도하는 경우에는 양도일로부터 소급하여 2년 이전에 취득한 토지 등을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양도하므로써 발..

기타 2022.04.25

8년 자경농지 양도세감면과 농지은행 위탁영농

1996.1.1부터 시행된 농지법의 "耕者有田" 취지에 따라 부재지주(不在地主)에게 적용되는 자경 의무와 비사업용토지에 따른 양도세 문제를 해결할 방편으로 한국농어촌공사 산하 농업은행에 위탁영농을 맡기는 방법이 검토. 제안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비사업용농지에 대한 60%까지 달하던 양도소득세 중과세율이 2017.1.1부터 10%로 낮아졌으며, 특히나 비사업용 토지에 대하여도 사업용토지와 마찬가지로 보유기간에 따라 장기보유특별공제에 대한 적용이 시행됨으로써 부재지주로 인한 농지처분 통보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비사업용토지를 피하기 위한 목적의 실익은 작아졌습니다. 아래에서 농지 위탁경영과 8년 자경농지 양도세 감면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농지은행을 통한 8년간 위탁영농은 ..

기타 2022.04.25